생각(think)

가마귀를 생각하여 본다

운학처사 2009. 1. 10. 16:13

 

 

가마귀를 생각하여 본다


                                                                                                                      단풍잎 떨어진 가지

                                                                        검은 열매 매달리니

                                                                      겨울이라

                                                                    하늘을 나는 검은 새

                                                                  푸른 종이에 검은 그림 그렸구나


                                                                까악 까악 소리는

                                                              기쁜 소리면 웃음소리고

                                                            슬픈 소리면 우는 소리라

                                                          모두 새 우는 소리라 하니

                                                        사람들의 견성(犬聲)이 부끄럽지 않은가


                                                      깃털이 검다고

                                                    피까지 검을 손가

                                                  겉이 희다고

                                               피까지 힐까

                                            변덕 심한 것은 사람인가 하노라


                                          어떤 나라에서는 길조라

                                        어떤 나라에서는 흉조라

                                      같은 가마귀를 보고도

                                   이렇게 다르니

                                 일반 사람들은 말해 무엇하리  


                               가마귀는 잡식성이라

                             가리는 것이 없고

                           백리 밖에서도 

                         냄새를 맡고 모여드니

                       미리 알려주어 고마운 일 아닌가


                     새중에 창의력 있어

                   도구를 이용도 하고

                 제작할 수 있으

              새 중에 으뜸이라

            사람 입맛 따라 평하지 마라


                 이 세상 새 중에

                             키워준 어미를 위해

                                            먹이를 물어다 주며

                                                           보은하는 새가 있든가

                                                                            이를 본 받아야 하

-반포지효(反哺之孝)


: 반포지효(反哺之孝)의 의미 

  까마귀는 새 종류의 하나이나 몸이 검고 눈이 어디 있는지 알 수 없어 새 조(鳥)자의 눈 부분의 한 획을 생략해 까마귀 오(烏)자가 되었다. 까마귀에 대한 인식은 흉조로 한국과 중국이 비슷하지만 일본에서는 우리와 달리 길조다. 유럽은 우리처럼 까마귀를 흉조로 보지만 북유럽 신화에서는 그들의 최고신 오딘의 상징으로 지혜를 의미한다. 기독교에서는 악마의 새이지만 그리스 신앙에서는 예언하는 길조이기도 하다. 이처럼 나라와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르지만 실제 일상생활에서 까마귀는 까치보다 도움이 되는 익조이며 효조(孝鳥)로서의 습성 또한 유명하다.


  까마귀는 한자로 자오(慈烏) 효조(孝鳥) 반포조(反哺鳥)라고 부르며 ‘은혜 갚는 새’로 불린다. 우리 어머니들은 출산할 때 170여 개의 뼈가 움직일 정도의 고통이 있다지만 까마귀도 새끼를 위한 먹이사냥의 심한 고통으로 눈이 멀 정도인가 보다. 우리말에 ‘까막눈’이라는 말도 눈이 먼 까마귀 어미에서 나온 말이다. 까마귀는 어미를 먹여 살린다.


  이처럼 어미를 되먹이는 까마귀의 효성을 ‘반포지효(反哺之孝)’라고 한다. 명나라 말기 이시진(1518~93)은 “까마귀는 부화 후 60일은 어미가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나 이후 새끼가 먹이 사냥이 힘에 부친 어미를 먹여 살린다”고 하였다.


  수나라 말기의 군웅인 이밀(224~287)은 진(晉) 무제(武帝)가 자신에게 높은 벼슬을 내리자 늙으신 할머니의 봉양을 위해 관직을 사양한다. 이에 무제가 크게 노하자 이밀은 자신을 까마귀에 비유하면서 “까마귀가 어미 새의 은혜에 보답하려는 마음으로 조모가 돌아가시는 날까지만 봉양하게 해 달라”는 진정표(陳情表)를 올렸고 무제는 그의 효심에 크게 감탄한다. 이밀의 진정표는 읽는 이의 눈물을 자아내는 뛰어난 문장으로 유명하다. 제갈공명의 출사표(出師表)를 읽고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은 충신이 아니며 이밀의 진정표를 읽고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은 효자가 아니라고 하였다.


  공자가 동방예의지국(한국)에서 살고 싶다고 한 일화가 있다. 논어 자한편에 공자가 “나는 동이에 가서 살고 싶다”고 하자 제자가 “그곳은 더럽고 누추하지 않겠습니까?”하고 여쭸다.


공자 왈, “군자가 사는 예의지국이 어찌 누추하겠느냐”고 말한다. 또한 소학 명륜장에서 공자가 “소련과 대련은 부모상을 정성껏 모셨고, 3일을 게을리 하지 않으며, 1년 동안 슬퍼하고, 3년을 근심 걱정하였다. 이 형제가 바로 동이(한국)인이다”고 하였다. 고래로 한국은 3년상을 모셨고 공자도 칭찬한 우리의 전통이다.


  3년상의 유래는 사람이 태어나 3년은 지나야 걸을 수 있고 부모 품을 떠날 수 있으므로 부모상 3년은 최소한의 보은으로 본 것이다.


  요즘은 1년상은 고사하고 용어도 잘 모르는 세상이지만 3년상은 효심을 떠나 어쩌면 공정한 민주적 발상이었던 것 같다. 받음은 당연시하면서 반포(反哺)를 모른다면 불공정하다. 세상이 바뀌어도 인간은 자식보다 부모가 먼저라는 점은 불변하다. 그래서 예부터 부모 앞에서는 자식사랑을 삼갔던 것이다. 요즘 사람들은 자식이 먼저이고 다음이 아내 남편, 그리고 강아지에 이어 부모가 5번째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사랑의 위계와 가정질서가 파괴돼 가고 있다.


  늦으면 이미 부모는 가고 없으며 또 자신들이 자식에게 당하는 악순환이 지속될 것이다. 소위 동방예의지국이 이래서야 동이를 예찬한 공자도, 반포지효의 까마귀도 다 한국을 등질 것이다.


하중호:칼럼니스트 : 성균관 유도회 중앙위원(현)

http://cafe.daum.net/yejeol114

 

 참고:진정표(陳情表) - 이밀(李密)=독서영역에 게시함 

 

'생각(th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장의 열쇠  (0) 2009.01.16
천년의 사랑  (0) 2009.01.15
선운사와 단풍  (0) 2009.01.09
산중 귀족인 곰취  (0) 2009.01.09
연부인의 사랑(총)  (0) 2009.01.09